분야 |
지원사업 |
지원대상 |
지원내용 |
신청방법 5인 |
참조사이트 |
---|---|---|---|---|---|
가 |
양육보조금 |
가정위탁아동 (연장아동 포함) |
위탁아동 1명당 월 20만원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개별 상담 후 신청 |
경기가정 위탁지원센터 |
학습재료비 |
가정위탁아동 중 초·중·고 재학아동 |
위탁아동 1명당 월 2만원 지원 |
별도 신청 없음 |
||
교육보호비 |
위탁아동 1명당 월 최대 20만원 지원 |
매월 또는 분기별 해당 증빙자료(영수증, 출석부 등)을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제출 |
|||
체험학습비 |
위탁아동 1명당 최대 12만원 지원 |
||||
상해보험 |
만18세 미만의 가정위탁아동 |
상해보험 가입 지원 |
보험료청구서를 작성하여 읍면동 또는 시청 담당부서에 제출 |
||
심리치료비 |
심리검사 및 치료(12개월) 월 20만원 지원 |
시청 담당부서 문의 |
|||
전세주택 지원 |
가정위탁아동 |
LH전세주택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시청에 신청 |
LH전월세지원센터 |
|
입 |
양육보조금 |
입양기관을 통해 입양한 만16세 미만의 아동 |
입양아동 1명당 월 15만원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아동권리보장원 |
심리치료비 |
심리검사 및 치료(12개월) 월 20만원 지원 |
시청 담당부서 문의 |
|||
의료급여 |
1종 의료급여 지원 (사전, 사후 적용 선택)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
입양축하금 |
입양기관을 통해 아동을 국내입양한 가정 (경기도 내 6개월 이상 거주한 가정에 한함) |
1백만원/1회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
입양숙려기간 모자지원 |
출산(예정)일 전 40일 또는 후 7일 이내의 미혼(이혼)모 |
아래 서비스 중 1가지 서비스 선택 산후인력지원 최대 50만원 지원 가족시설 입소 시, 산후인력지원 40만원 지원 산후조리원 이용료(1주) 최대 70만원 이내 실비 지원 |
시청 담당부서 문의 |
||
장 |
양육보조금 |
입양기관을 통해 입양한 만18세 미만의 아동 |
-중증장애아동 1명당 월 627천원 -경증장애아동 1명당 월 511천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아동권리보장원 |
의료비 |
연간 260만원/인 한도 내에서 의료비 본인부담금 지원 |
시청 담당부서 문의 |
|||
심리치료비 |
심리검사 및 치료(12개월) 월 20만원 지원 |
시청 담당부서 문의 |
|||
의료급여 |
1종 의료급여 지원 (사전, 사후 적용 선택)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
입양축하금 |
입양기관을 통해 아동을 국내입양한 가정 (경기도 내 6개월 이상 거주한 가정에 한함) |
2백만원/1회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
기타 |
아동수당 |
만7세 미만의 아동 (2019. 9월 ~) |
아동 1인당 월 10만원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
아동수당 |
디딤씨앗통장 (아동발달지원계좌) |
만18세 미만의 아동 중 아래 해당하는 아동 가정위탁아동 보호시설 입소아동 만12세~17세의 기초수급(생계 또는 의료)아동 |
취약계층 아동 자립을 위한 자산형성(적금) 지원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디딤씨앗통장 |
|
결식우려아동 급식지원 |
만18세 미만의 취약계층 아동 중 결식우려아동 (고등학교 재학생 포함) |
아동급식전자카드(지드림카드) 지원 ※ 지역아동센터(시립아동청소년센터)와 중복이용 불가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상담 후 신청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신청 |
|
|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
가정위탁 및 시설입소(아동그룹홈, 아동양육시설 아동 중 만기(연장)보호 종료아동 ※ 만기(연장)보호 종료아동 : 만18세 이후 보호종료(종결)아동 |
월 30만원 지원 |
주민등록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