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지표 및 과제성격 평가결과

개 요

(단위 : %, 개)

성격평가 등급 및 비율(분야, 구분, 계,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분야 구분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경제환경 비율 100 11.7 20 41.6 16.7 10
등급 개수 60 7 12 25 10 6
교육복지 비율 100 9.4 18.9 43.4 20.8 7.5
등급 개수 53 5 10 23 11 4
도시안전 비율 100 10.8 18.9 40.6 21.6 8.1
등급 개수 37 4 7 15 8 3
건설개발 비율 100 10.7 19.1 42.6 19.1 8.5
등급 개수 47 5 9 20 9 4
시정운영 비율 100 9.6 19.2 40.4 21.2 9.6
등급 개수 52 5 10 21 11 5
읍면 비율 100 7.1 21.5 42.8 21.5 7.1
등급 개수 14 1 3 6 3 1
비율 100 9.1 18.1 45.6 18.1 9.1
등급 개수 11 1 2 5 2 1

(단위 : 점)

성격평가 점수분석(구분, 경제환경(1차,2차,3차), 교육복지(1차,2차,3차), 도시안전(1차,2차,3차))
구분 경제환경 교육복지 도시안전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최대(MAX) 88 87 87 88 88 87.5 83 91 87
최소(MIN) 65 60 65 58 68 63 62 70 67.5
평균(AVG) 77 71 74 73 75 74 75 81 78
표준편차 4.6 5.5 4.5 6.0 4.9 5.0 4.0 4.4 4.0
성격평가 점수분석(구분, 건설개발(1차,2차,3차), 시정운영(1차,2차,3차), 읍면(1차,2차), 동(1차))
구분 건설개발 시정운영 읍면
1차 2차 3차 1차 2차 3차 1차 2차 1차 2차
최대(MAX) 92 82 87 87 83 84 76 75 70 70
최소(MIN) 74 66 70 59 58 59 56 57 57 57
평균(AVG) 82 74 78 72 71 71 65 65 64 64
표준편차 3.2 4.4 3.5 6.8 5.3 5.7 6.2 5.9 3.9 4.0

(단위 : 점, 개)

성격평가 점수부여 (성격평가 점수환산시)(구분,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구분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점수 개수 점수 개수 점수 개수 점수 개수 점수 개수
전(全) 분야 5 28 4 53 3 115 2 54 1 24

총 평

공통사항(현행, 개선방향)
현 행 개선 방향
지표정의서 내 항목별로 대체적으로 잘 작성 되어 있으나, 산식설명, 목표 값 근거 등 명확 하지 않게 작성된 예도 있음 부서 성과관리 담당자(서무 등)를 중심으로 지표 정의 방법 및 성과관리에 대한 충분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성과관리계획의 이해도 제고)
내부평가단 위원들이 평가기준에 대한 일치된 의견을 공감하여 평가를 수행하기에 다소 시간 이 부족 30명 내부평가단 : 274개 지표평가 내부평가단 위원들을 대상으로 성격평가 워크숍 전 평가 오류, 평가기준 설정, 모의평가 연습 등에 대한 충분한 사전 교육 실시 고도화된 지표에 대해 사전평가 제외 등 검토
내부평가단 위원들이 사전에 부서별 평가대상 지표 및 분야가 결정되지 않아 평가분야에 대한 이해도 등 실제 평가시 어려움 발생 ※ 내부평가단 위원 중 여성(5급 이상) 참여 비중도 높았으면 하는 의견 존재 내부 평가단 위원들이 성격평가 워크숍 前 평가대상 2개 분야의 전년도 업무 실적 및 당해 업무계획에 대해 사전 공지와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조성 성격평가 1주일 전 평가자료 공개와 내부평가단 위원들과 평가대상 분야 매칭 결정 성격평가 워크숍 내부평가단 위원 참석율 제고 201544명 대비 30명 참석 (68%)
각 내부평가단 분야에 따라 기준 적용 및 예외 처리 등에 대한 차이가 존재함 성격평가 교육 시 제시된 성과평가 기준 및 배점표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이해하고, 가능한 한 제시된 기준을 공통적으로 적용 (예외사항 최소화) 성격평가 배점기준의 추상적, 해석의 여지가 있는 기준은 사전 의견공유로 명확하게 통일
S나 D급 평가지표에 대한 내부평가단 내 의견 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유연하게 합의하는데 어려움 존재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한 합의를 기반 으로 결정하는 훈련이 필요함 ※ 내부평가단 위원들은 평가에 있어서는 모두 평등한 위치
과제의 중요도 및 지표의 적합성 측면(현행, 개선방향)
현 행 개선 방향
시정 방침이나 공약사항이 성과/이행과제 계획서에 연관성이 있는지 충분한 설명 미흡 성과지표 및 이행과제계획서가 시정방침 또는 공약사항과 연관이 있다면 반드시 표시 또한 보충설명으로 우리 시가 어느 정도 위치 (수준)에 있는 지를 보일 수 있는 자료 기재
복합지표가 이상적이나, 지표를 필요이상 으로 복잡하게 전개하는 경향 성과목표 달성에 대표성을 가진 지표만으로 지표가 구성되고 있는 지 점검
과거실적이 미흡했었던 지표의 경우 지수를 1 ~ 2개 추가하여 신규지표로 가장함 이행과제계획서가 지표와 연관성 없이 추가 또는 변경하는 경우 다수 존재 전년대비 지표가 조정 또는 신규로 변경된 경우 구체적 배경 제시(보충설명 필)
지표를 복합적으로 지수화하고 달성하기 쉬운 쪽에 이행과제계획서의 가중치를 높게 부여 가중치 설정에 대한 배경 등 타당한 설명 제시 복합지표 내 구성된 각 지표에 대한 달성치를 상한 한계치(ex.110%)를 설정하는 기준 검토
목표의 도전성 및 실행의 난이도 측면(현행, 개선방향)
현 행 개선 방향
목표값 설정에 대한 근거설명 미흡 목표값이 전국, 경기도, 유사기관, 시 차원, 과거 3년 평균 대비 등 얼마나 도전적인지 설명 작성이 필요
목표값에 대한 설명 부족으로 내부평가단 위원들이 지표평가시 이해에 어려움 목표값이 복합지표인 경우 각 구성 지표별 목표값을 함께 명확하게 제시
실행의 난이도의 경우 내부평가단 위원들의 사전 지식 또는 경험에 의존하여 점수를 부여 하는 경향 존재 실행에 관계되는 이해관계자가 얼마나 되고, 전문지식의 요구 정도, 어떠한 노력이 수반 되어야 하는 지 등을 지표정의서 및 이행과제 계획서(문제점 및 대책)에 제시 필요
목표치가 한계점에 다다른 경우 더 이상
도전적 목표 값 설정에 어려움 있음
평가기준 설정의 개선, 지표 산식의 변화 등 으로 개선방식을 제시 필요
목표의 도전성 및 실행의 난이도 측면(현행, 개선방향)
구 분 개선 방향
과제 및 지표선정 측면 읍면동 각 핵심분야를 제시하고, 공통지표를 제외한 분야에
대해 고유지표로 선정함(※ 읍면동의 핵심사업을 고유지표화)
읍면동별로 고유지표의 내용이 동일한 경우가 다수 존재,
읍면동별로 차별화된 지표선정이 필요
과제 및 지표선정 측면 일부업무에 국한된 사항을 지표로 선정하거나,
공통지표와 유사한 지표선정은 지양
성과관리계획서 측면 읍면동별로 유사한 지표로 성과관리계획서의 내용도 차별화가 없음
※ 읍면동별로 난이도가 높은 과제를 전반적으로 미 수행
성과관리계획서 보완 (주기별 목표와 목표값 불일치, 근거치
(분자/분모) 목표 미기입 등)
성과관리 운영측면 읍면동 핵심분야별 주요계획 정립 및 공유 필요
내 ․ 외부 컨설턴트를 통한 성과관리계획서 작성에 대한 사전
교육 및 코칭 필요
기타사항 (읍 · 면 · 동 공통지표에 대한 컨설팅 내용)(지표명, 컨설팅 내용)
지표명 컨설팅 내용
민원처리 신속성 목표값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나, 중간달성 정도를 체크하여
가중치 적용여부를 조정
자원봉사 활성화율 나눔포털 등록회원과 주민수와 비례하여 관리가 요구됨, 즉
나눔포털 등록율(나눔포털 등록회원/주민수)에 대한 보완
등록회원을 높이는 부분에 대한 성과에 대해서도 지표관리
산식개선) 자원봉사 등록회원 실 활동율 + 자원봉사 등록율
⇒ 주민수는 실제 자원봉사가 가능한 활동 주민 수(9세 ~ 65세)
마을공동체 참여지수 교육참여자 20명 기준 명확화 (예, 다수의 마을 또는 다수 사업 20명 등)
읍면동 마을단위별 참여 및 참여사업수 확대와 성공사례 관리
산식개선) 씨드머니사업 신청율(신청사업수/읍면동 마을수) +
씨드머니 신청자 교육참여율 + 씨드머니사업 성공률(등록율/신청 사업수) + 평가점수

성격평가 절차

성격평가 이의신청 결과

성격평가 이의신청 결과 (분야, 등급, 지표수, 이의신청수, 재심의결과(원안등급, 등급상향),비고)
분야 등급 지표수 이의신청수 재심의결과 비고
원안등급 등급상향
경제환경 C등급 10 2 1 1
D등급 6 0 0 0
교육복지 C등급 11 7 2 5
D등급 4 1 0 1
도시안전 C등급 8 3 1 2
D등급 3 2 1 1
건설개발 C등급 9 6 4 2
D등급 4 3 1 2
시정운영 C등급 11 6 4 2
D등급 5 3 2 1
C등급 2 0 0 0
D등급 1 1 0 1
74 34 16 18

부서별 성격평가 결과

부서별 성격평가 결과 (연번, 실과소, 환산점수, 평가결과(지표수, S등급(5점), A등급(4점), B등급(3점), C등급(2점), D등급(1점)))
연번 실과소 환산점수 평가결과
지표수 S등급
(5점)
A등급
(4점)
B등급
(3점)
C등급
(2점)
D등급
(1점)
1 기획예산담당관 34 5 2 1 2 0 0
2 사회적공동체담당관 31.2 3 1 1 1 0 0
3 감사담당관 31.6 5 1 2 2 0 0
4 공보담당관 21.6 3 0 0 2 1 0
5 자치행정과 26 7 1 1 4 0 1
6 안전정책과 26.8 4 1 1 1 1 0
7 세정과 26.8 4 0 1 1 1 1
8 징수과 36 2 1 1 0 0 0
9 회계과 14.4 5 0 0 1 2 2
10 민원봉사과 29.6 4 0 3 1 0 0
11 정보통신과 23.2 6 0 0 5 1 0
12 평생교육과 29.2 5 1 1 2 1 0
13 문화예술과 25.6 8 2 1 2 2 1
14 체육청소년과 19.2 3 0 0 2 0 1
15 관광진흥과 32 4 1 2 1 0 0
16 복지정책과 23.2 6 0 1 3 2 0
17 희망복지과 26.8 5 0 2 2 1 0
18 여성보육과 28.8 5 1 1 3 0 0
19 위생과 27.2 4 1 0 2 0 1
20 지역경제과 24.4 6 0 2 2 2 0
21 농정과 25.6 5 1 0 3 0 1
22 축산과 28.8 5 1 2 1 1 0
23 해양수산과 27.6 4 0 2 2 0 0
24 도시정책과 24.8 3 0 1 1 1 0
25 허가민원1과 26.4 3 0 1 1 1 0
26 허가민원2과 26.4 3 0 1 1 1 0
27 주택경관과 24.4 5 0 1 3 1 0
28 건축과 27.2 7 2 0 4 0 1
29 도시계획상임기획단 21.6 2 0 0 1 1 0
30 건설과 20.8 3 0 0 2 1 0
31 도로과 28.8 5 1 1 3 0 0
32 교통정책과 28.8 5 1 1 3 0 0
33 대중교통과 35.6 4 2 1 1 0 0
34 토지정보과 25.2 6 0 1 4 0 1
35 보건행정과 25.6 5 0 1 4 0 0
36 동부보건지소 24 3 0 0 3 0 0
37 동탄보건지소 26.4 3 0 1 2 0 0
38 봉담주민건강지원센터 24 3 0 0 3 0 0
39 기술기획과 20 6 0 0 4 1 1
40 기술개발과 28.8 5 1 1 2 1 0
41 농촌자원과 28 5 1 1 2 0 1
42 맑은물운영과 24.4 4 0 1 2 1 0
43 맑은물시설과 28 2 0 1 1 0 0
44 지역개발과 24.8 4 0 1 1 2 0
45 산림녹지과 28.4 4 1 1 1 1 0
46 공원과 28.4 2 0 1 1 0 0
47 시설공사과 22.4 3 0 0 2 1 0
48 기후환경과 32.8 2 1 0 0 1 0
49 수질관리과 19.2 6 0 1 1 3 1
50 자원순환과 24.8 6 1 0 4 0 1
51 하수과 26.4 4 0 1 3 0 0
52 차량등록사업소 26.4 3 0 1 2 0 0
53 총무과 22.4 3 0 0 2 1 0
54 시민봉사과 19.2 5 0 0 2 3 0
55 세무과 25.6 3 0 1 1 1 0
56 사회복지과 17.6 3 0 0 1 1 1
57 환경위생과 22.4 3 0 1 1 0 1
58 건설교통과 24 4 0 1 2 1 0
59 건축산업과 16.8 4 0 0 1 2 1
249 26 48 117 41 17
읍면동 환산점수 (연번, 실과소, 환산점수, 평가결과(지표수, S등급(5점), A등급(4점), B등급(3점), C등급(2점), D등급(1점)))
연번 읍면동 환산점수 평가결과
지표수 S등급
(5점)
A등급
(4점)
B등급
(3점)
C등급
(2점)
D등급
(1점)
1 봉담읍 4 1 0 0 0 1 0
2 우정읍 6 1 0 0 1 0 0
3 향남읍 4 1 0 0 0 1 0
4 남양읍 2 1 0 0 0 0 1
5 매송면 6 1 0 0 1 0 0
6 비봉면 8 1 0 1 0 0 0
7 마도면 8 1 0 1 0 0 0
8 송산면 10 1 1 0 0 0 0
9 서신면 6 1 0 0 1 0 0
10 팔탄면 6 1 0 0 1 0 0
11 장안면 6 1 0 0 1 0 0
12 양감면 8 1 0 1 0 0 0
13 정남면 4 1 0 0 0 1 0
14 동탄면 6 1 0 0 1 0 0
15 진안동 4 1 0 0 0 0 1
16 병점1동 6 1 0 0 1 0 0
17 병점2동 6 1 0 0 1 0 0
18 반월동 8 1 0 1 0 0 0
19 기배동 4 1 0 0 0 1 0
20 화산동 10 1 1 0 0 0 0
21 동탄1동 6 1 0 0 1 0 0
22 동탄2동 6.8 2 0 1 1 0 0
23 동탄3동 4 1 0 0 0 1 0
24 동탄4동 6 1 0 0 1 0 0
25 2 5 11 5 2